정신건강교실 강박증 알코올중독알코올중독 조현병조현병 조울증조울증 폭식증폭식증

홈. 정신건강교실. 강박증강박증

강박장애
강박장애란?
강박장애는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특정한 생각이나 행동을 반복하는 병적 상태를 말합니다. 강박행동을 함으로써 내재된 불안은 일시적으로 감소하지만, 강박행동을 중지하면 다시 불안증세가 나타나므로 불합리한줄 알면서도 반복하지 않을 수 없지요. 정상인에게도 다소 강박적인 증세가 있을 수는 있지만, 그 정도가 심하여 고통이 따르고, 일상생활, 사회생활 또는 대인관계에 지장이 초래되면 병이라고 봅니다. 강박장애 환자는 대부분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이 같이 있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강박사고나 강박행동만 보이기도 합니다.
주로 어떤 증상이 많습니까?
가장 흔한 증상은
  1. 오염에 관한 강박사고로, 손을 반복해서 씻거나 오염대상을 강박적으로 피한다.
  2. 의심하는 강박사고로, 자꾸 확인을 하는 강박행동이 뒤따른다. 가스불을 확인하는 것과 같이 대개 위험한 일이 생길 것 같은 의심인 경우가 많다.
  3. 강박행동이 없이 강박사고만 있는 경우로 대부분 성적인 내용이거나 공격적 행위에 관한 반복적 사고이다.
  4. 모든 물건을 대칭으로 맞추거나 정확하게 하려는 것으로 결국 강박적 지연으로 나타난다
이외에도 죽음이나 삶의 가치 및 우주관 등 해결될 수 없는 관념에 대한 반추나 종교적 강박사고 또는 강박적 저장도 흔하다.
왜 이 병이 생기나요?
신경전달물질중 세로토닌이 감소 혹은 조절장애 때문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뇌 영상연구에서는 미상핵(caudate nucleus)의 크기가 양쪽 다 감소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습니다. 이상의 소견을 근거로 선조체, 변연계, 안와전두엽을 연결하는 전두엽-선조체-시상-전두엽 고리 fronto-striatal-thalamo-frontal loop 에 이상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약물치료와 행동치료가 효과적이며, 두 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1. 약물치료는 SSRI(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와 클로미프라민이 흔히 사용되는데, 강박장애의 치료시에는 우울증의 치료에 비해 더 많은 용량을 더 장기간 투여해야 합니다. 그리고 증상이 없어지더라도 투약을 중단하면 재발하기 쉽기 때문에 장기투여가 필요합니다.
  2. 행동치료로는 “노출과 반응방지(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기법이 대표적입니다. 예를 들면 오염에 관한 강박사고로 손을 반복적으로 씻는 환자의 경우, 환자가 두려워하는 것을 만지게 한 후 일정시간 동안 손을 씻지 못하게 합니다. 노출을 통해 자신이 두려워하는 것이 생각보다 두렵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고, 견디는 힘을 키워가는 것입니다.